서울굿 음악의 연행자, 무당과 악사
서울굿음악의 연행자인 무당과 악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악사는 조선시대 전통사회에서 사용하던 삼현육각을 연주합니다. 삼현육각은 피리2, 대금1, 해금1, 북1, 장구1로 구성된 악기 편성의 이름이면서 또 이 편성으로 연주하는 악곡 이름이기도 합니다.
일제강점기의 굿과 무당
서울굿 무당은 현재 신이 내려서 무업에 종사하고 있는 소위 강신무입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서울굿을 기록한 "조선무속의 연구"라는 책에는 신이 내리지 않은 여인도 굿에 참여하고 있다고 적혀 있습니다. 신이 내린 무당은 원무당이라고 하였지만, 신이 내리지 않은 무당은 기예무당으로 굿에서 춤과 노래를 부르면서 예능적인 부분을 소화하였다고 합니다.
창부타령과 창부무당
기예무당은 특히 창부거리와 뒷전을 전담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경기지역에는 통속민요로 불리는 아주 유명한 창부타령이 있습니다. 민간에서 이렇게 민요 창부타령이 생기게 된 것은 굿판에서 활동하던 창부무당이 민간에서도 활동하면서 굿판의 무가가 민간의 민요로 파생된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장구를 전담하였던 기대는 악사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 역시 신내림을 받지 않은 여인이 장구를 담당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황해도굿에서 상장구를 맡는 여인이 강신무가 아닌 것과 같은 양상이기도 하지요. 이렇듯 일제강점기의 굿에서 공수와 같은 영험함을 보여주는 원무당과 예능적인 부분을 제공한 기예무당이 별도로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의 서울굿과 청배무당
현재 서울굿을 하고 있는 무당은 모두 신이 내린 강신무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과거 기대, 창부무당, 뒷전무당이 했던 역할은 청배무당, 혹은 청승무당이라고 불리는데 이러한 사람들이 맡아서 하고 있습니다. 청배무당은 앉은 거리의 청배무가나 연행이 풍부하게 구성된 대안주거리, 혹은 장구를 도맡아서 굿반주를 하면서 주로 음악성이 필요한 거리를 전담하여 연행을 합니다. 그리고 바리공주 무가나 황제풀이 같이 음악성과 문서가 중요한 무가도 청배무당이 주로 맡아서 부릅니다.
서울굿의 악사, 전악
서울굿 악사는 조선시대 궁중음악을 관장하던 장악원 출신의 악사들이어서 사실 전악이라고도 부릅니다. 당시 장악원의 악사는 무계 출신의 아들을 차출하여 고용하기도 했기 때문에 서울굿 악사는 궁중음악과 민간음악을 모두 소화할 수 있었습니다. 또 이들은 삼현육각의 관악기인 피리, 대금, 해금을 모두 다룰 줄 알고 굿 속도 잘 알아서 무당을 직접 교육하기도 하였습니다. 이러한 무계 출신의 서울굿 악사는 아직도 현장에서 몇 명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대의 서울굿 악사
현재 서울굿의 젊은 악사는 대학교에서 국악기를 전공하고 굿판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 보통 전공 악기 하나 정도만 다루고, 삼현육각의 악기를 모두 다루지는 못하는 실정입니다. 전통사회에서 피리2, 대금1, 해금1, 북1, 장구1로 구성되었던 삼현육각의 편성은 서울굿에서는 북 대신 제금을 사용합니다. 제금은 가죽의 부드러운 소리보다는 금속성의 날카로운 소리를 내주면서 굿 음악을 더 강렬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6명이 반주를 하면 굿판에서는 보통 사잽이 편성이라고 합니다. 남자 악사들 중심으로 명수를 이야기하는 것이지요. 삼잽이만 써도 굿음악을 풍부하게 쓰고 있다는 소리를 듣죠. 그런데 그나마 한 명밖에 쓸 수 없다면, 피리를 써야 합니다. 악사의 몫을 하려면 피리가 가장 필수적인 악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무당이 치는 장구와 제금도 빠져서는 안되는 악기입니다. 예전에는 장구 하나만 잡아줘도 굿을 한다고 할 정도로 장구가 치는 장단은 굿음악에 있어서 필수 요소입니다.
국사당
국사당은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된 유서 깊은 곳인데요. 굿당 안이 넓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제상을 바라보고 보통 오른 편에 장구가 앉고 그 옆에 제금이 앉는데요. 저렇게 반대편 앉아서라도 꼭 장구에 맞춰서 제금을 쳐주게됩니다. 앉은 거리로 부정거리와 가망거리를 마친 후에 진적의 절차에서 연주되는 삼현육각입니다. 진적에서 무당은 굿상에 초를 켜고 향을 피우고 절을 하는 의식을 합니다. 악사는 무당의 연행에 따라 정해진 삼현육각을 연주해야 합니다. 무당의 노래, 무의식, 무무는 기능에 따라 맞춰지는 삼현육각이 각각 있습니다. 굿을 하면서 무당은 춤추고 노래하면서 공수도 주고 여러 연행을 복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듯 서울굿 음악은 무당과 악사가 함께 만들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역별 굿 정보, 굿음악, 굿 악기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굿 삼현육각 - 굿거리, 당악, 허튼타령, 반염불, 취타 내용과 특징 (0) | 2024.02.10 |
---|---|
서울굿 무가 - 청배무가, 노랫가락, 타령, 만수받이 내용과 특징 (0) | 2024.02.10 |
서울굿 연행 - 앉은거리와 선거리 (0) | 2024.02.09 |
제마수 장단의 구조와 쓰임 (0) | 2024.02.09 |
청보장단의 구조와 쓰임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