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굿음악의 삼현육각

서울굿 삼현육각 - 굿거리, 당악, 허튼타령, 반염불, 취타 내용과 특징
서울굿 삼현육각 - 굿거리, 당악, 허튼타령, 반염불, 취타 내용과 특징

서울굿음악에서 악사가 연주하는 삼현육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굿에서 대표적인 삼현육각은 반염불, 굿거리, 허튼타령, 당악, 취타 입니다. 이 곡은 무당이 춤을 추거나 무의식을 연행할 때 반주음악으로 사용하고, 무당이 부르는 무가에 반주할 때는 수성가락이라고 해서 노래의 선율을 모방하면서 즉흥적으로 연주합니다. 이때 무당이 잡은 청(key)에 잘 맞게 수성가락을 내주어야 실력있는 악사로 인정을 합니다. 그런데 서울굿 악사는 궁중음악도 연주하였기 때문에 자진한잎을 포함한 거상악을 연주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서울새남굿에서만 가끔 거상악을 연주하고 보통은 진적이나 상식거리에서 반염불-굿거리-허튼타령-자진허튼타령(당악)을 연주합니다.

굿거리

우선 서울지역에서 전승되는 삼현육각의 대표격인 굿거리입니다. 삼현육각 굿거리에는 무당이 선 거리에서 삼진삼퇴, 즉 들어숙배나숙배춤을 춥니다. 들어숙배나숙배춤은 신이 들어올 듯 말 듯 한 과정을 춤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제 보실 영상은 불사거리 초반에 신을 맞는 과정으로 연행되는 부분입니다. 춤사위가 아주 곱고 서울굿의 정형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당악

아마 서울굿을 보면서 가장 많이 듣는 음악이 당악일 것 같습니다. 무당이 제자리에서 가볍게 도무하듯이 춤 출 때 반주하는 음악입니다. 굿거리 뒤에 당악이 연주될 때는 신이 몸에 실린 것으로 간주하여 당악이 끝나면 어 굿자 하면서 공수를 줍니다. 그런데 당악이 연주될 때 무당은 무복을 벗거나 갈아입으면서 신격을 바꾸기도 합니다. 당악은 이렇게 신격을 전환하기도 하고, 또 신격을 보내고 거리를 마칠 때도 연주가 됩니다.

반염불

다음은 반염불입니다. 반염불은 상산신을 맞는 대안주거리의 시작에서 연주됩니다. 다소 느린 6박자에 연주되어 여기에 맞춰서 추는 춤은 거상춤이라고 합니다. 거상춤을 길게 출 때는 삼현도드리부터 시작해서 긴염불을 연주하고 반염불로 넘어가기도 합니다.

허튼타령

허튼타령은 개별 거리 중간에 신격이 바뀌게 되는 경우에 연주되거나 대안주거리에서 별상신을 맞거나 혹은 상위의 제물을 흠향할 때 반주됩니다. 또 진오기굿의 도령돌기에서 부채도령춤을 출 때도 연주됩니다. 지금 보실 영상은 허튼타령에 맞춰서 별상신을 맞는 과정입니다.

취타

취타는 대안주거리에서 상산신을 놀리고 나서 별상신을 맞을 때 반주 되서 방금 보신 허튼타령과 용도가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차이점이라면 취타는 최소한 삼잽이는 되어야 연주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외잽이나 피리 해금을 쓰는 양잽이 때는 별상신을 맞을 때 취타 대신 허튼타령을 연주합니다. 그리고 허튼타령은 서울새남굿에서 문들음을하고 연지당으로 나아갈 때 연주하기도 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