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굿 무가의 가창 방식
서울굿 무가는 가창방식에 따라서 나눌 수 있습니다. 우선 앉은 거리에서 무당이 직접 장구를 치면서 부르는 무가와 선 거리에서 춤을 추거나 무구를 들거나 혹은 무의식을 행하면서 부르는 무가가 있습니다. 무당이 장구를 직접 치면서 부르는 무가는 청배무가, 노랫가락입니다. 그리고 무당이 서서 부르는 노래는 만수받이, 타령, 노랫가락입니다. 노랫가락은 가창방식이 다양해서 직접 장구를 치면서도 부르고 손에 술잔이나 부채 방울을 들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 만수받이처럼 주무와 조무가 서로 주고받으면서 교대창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이렇게 서울굿 무가는 청배, 노랫가락, 타령, 만수받이가 대표적인 무가입니다. 청배무가는 부정거리에서 불리면 부정청배, 가망거리에서 불리면 가망청배라고 합니다 부정청배의 내용은 모든 부정을 열거한 뒤 물리쳐 달라고 빌고, 굿하는 내역을 알리고 난 다음 굿에서 대접하는 신격을 차례대로 호명합니다. 신을 굿청으로 청하는 청신의 기능이 있습니다. 장단은 3소박과 2소박 합쳐서 5소박이 최소 단위가 되서 5+5, 이렇게 10소박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사설에 따라서 불규칙하게 불립니다. 현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20호 남이장군사당제의 보유자인 이명옥 만신이 부르는 청배무가의 시작 부분입니다. 이 날의 굿은 깊은 병에 든 환자를 위해 열린 병굿이었습니다.
노랫가락
서울굿에서 전하는 말 중에 '거리거리 노랫가락'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서울굿에서는 거리마다 노랫가락이 빠지지 않고 불린다는 것인데요. 앞서 가창방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노랫가락은 앉은 거리와 선거리에서 모두 불리는 유일한 무가입니다. 노랫가락 역시 가망신을 위하면 가망노랫가락, 상산신을 위하면 상산노랫가락이라고 부릅니다. 노랫가락은 시조와 구조적으로 유사성을 갖고 있어서 사설이 초장-중장-종장으로 구성되어 불립니다. 박자는 5박자와 8박자가 혼합된 구조로 활용되는데, 초장은 8·8·8·5·5, 중장은 5·8·8·5·5, 종장은 5·8·8박으로 구성됩니다. 노랫가락은 앉은 거리에서 불릴 때는 청신의 기능이 있고, 선 거리에서 불릴 때는 찬신하며 신을 놀리는 기능이 있습니다.
타령무가
이번에 타령무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타령무가는 신을 놀리는 대표적인 서울굿 무가입니다. 선 거리에서만 불리고 창부신을 위한 타령이면 창부타령, 대감신을 위한 타령이면 대감타령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서울굿 무가는 어떤 신격을 위한 노래냐에 따라서 신격이름을 붙여서 말합니다. 타령무가의 반주장단은 삼현육각의 굿거리장단과 기본형은 같지만 리듬 붙임이 조금 다릅니다. 여러분은 이미 서울굿의 장단을 배워봤으니 아래의 장단도 바로 칠 수 있죠? 한번 해볼까요? 덩 덕쿵덕 덩덕쿵덕 덩 덕쿵덕 덩덕쿵덕 이렇게되지요. 자 그럼 이제 타령무가를 들어볼까요? 이 영상은 아주 신명나고 흥겹게 연행이 되고 있습니다.
만수받이
다음은 무가 만수받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무가 만수받이는 선거리에서만 불리고 개별거리를 시작하는 앞부분에 주로 불립니다. 굿을 주재하는 주무와 장구 반주를 하는 조무가 서로 마주 보고 교대로 반 소절씩을 부릅니다. 같은 노랫말을 두 번씩 부르게 되는거지요. 하지만 선율은 부르는 사람의 재량에 따라서 부르기 때문에 서로 같은 선율로 부르지는 않습니다. 만수받이의 장단은 타령무가의 장단을 조금 더빠르게 칩니다.
'지역별 굿 정보, 굿음악, 굿 악기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안별신굿 내용과 절차 (0) | 2024.02.10 |
---|---|
서울굿 삼현육각 - 굿거리, 당악, 허튼타령, 반염불, 취타 내용과 특징 (0) | 2024.02.10 |
서울굿 음악의 연행자, 무당과 악사 (0) | 2024.02.09 |
서울굿 연행 - 앉은거리와 선거리 (0) | 2024.02.09 |
제마수 장단의 구조와 쓰임 (0)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