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별신굿
남해안별신굿에는 제 이 절차남해안별신굿에는 제의(ritual) 절차와 무가(shamanic songs), 무악(shamanic music), 무관(춤, shamanic dance)을 비롯하여 탈놀이, 띠뱃놀이, 용선놀음 등 놀이문화와 죽은 사람의 넋을 기리는 '오귀새남굿', 집안의 평안과 조상을 위한 '도신굿'도 함께 다양한 영역으로 전승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삼면이 바다인 나라입니다. 오른쪽이 동해안, 왼쪽이 서해안, 아래쪽이 남해안입니다. 별신굿은 이렇게 해안가에 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축제 형식의 '공동체 문화'입니다. 동해안 지역의 마을에서는 동해안별신굿, 서해안에서는 서해안배연신굿, 남해안에서는 남해안별신굿이 열리는 거죠. 예전에는 남해안 여러 지역에서 별신굿을 했지만 현재는 통영과 거제에서 하고 있습니다.
남해안별신굿의 전승
남해안별신굿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남해안별신굿은 국가에서 지정한 무형문화재로 '세습무'가 전승을 하고 있습니다. 세습무는 집안 대대로 무업(shaman)을 이어서 하는 것으로, 현재 12대째 전승을 하고 있습니다. 제 이름이 여기 있네요. 제 이름 옆에는 동생이고 전승자로 함께 활동하고 있습니다. 이분은 제 아버지고, 현재 남해안별신굿 보유자입니다. 남해안별신굿을 전승하고 있는 세습무는 접신을 하지 않고, 소리, 춤, 음악 등을 열심히 학습해서 굿의 예술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럼 세습무들은 굿에 사용되는 모든 내용을 어디서 배우고 연습했을까요? 바로 '신청'이라는 곳에서 학습을 했습니다. 한국의 여러 지역에는 신청이라는 곳이 있었는데, 통영의 신청은 조선시대 왕립음악기관으로서 세습무를 가르치고, 예술인들을 양성하는 장소였습니다. 이 지도로 통영신청이 조선시대 삼도수군통제영의 산하 기관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신청은 현재의 전통예술교육기관과 같은 곳이라고 할 수 있고, 세습무들은 신청의 중심이 되어 굿뿐만 아니라 음악의 전 분야와 춤, 기예, 연극, 종교성 등을 종합하여 체계적인 이론과 예술적 실기 교육을 담당했습니다. 그럼 통영과 거제의 어느 마을에서 별신굿을 하고 있을까요? 과거에 별신굿을 했던 마을까지를 표시한 지도이고, 현재는 통영 죽도와 사량도, 거제 죽림과 양화 네 곳에서 별신굿을 하고 있습니다. 통영 죽도와 거제 죽림, 양화는 2년마다, 통영 사량도는 10년마다의 주기로 별신굿을 합니다.
별신굿의 목적
별신굿을 하는 새해가 되면 1월~2월 중 날짜를 정해서 1박2일 동안 하는데요. 지도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별신굿을 하는 마을들은 모두 바다와 가까이 있습니다. 통영과 거제는 바다가 가까이에 있고 섬도 많은 지역으로, 이 지역 사람들은 바다에서 일을 많이 하고 있는데요. 바다에서 일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은 별신굿을 할 때 마을을 처음 만든 조상들에게 고마움을 표하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마을 사람들이 사이좋게 지낼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우리 마을에 사고가 안 나게 해 주세요. 우리 가족들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해 주세요. 우리 아이들이 잘 자라게 해 주세요. 복 많이 받게 해 주세요. 사람들의 소원을 살펴보면 마을이 행복해야 우리 가족이 행복하고, 내가 행복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동체문화는 마을을 중심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는데, 별신굿을 통해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화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남해안별신굿은 공동체 문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남해안별신굿에는 어떤 굿이 있고, 어떤 내용으로 제의 절차가 진행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남해안별신굿의 절차
첫째 날은 청신 길군악과 판메구로 무당들이 마을에 도착했음을 알리고, 마을 당산 신령에게 별신굿의 시작을 알리는 들맞이당산굿과 산신제를 합니다. 둘째 날은 해가 뜨기 전 마을에서 가장 중요한 당산에서 일월맞이로 별신굿의 시작을 알립니다. 그 다음 골메기굿-용왕맞이-부정굿-가망굿-제석굿-선왕굿-용왕굿 순으로 각각의 신들에게 마을의 단합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다음으로 별신굿에서 가장 중요한 지동굿, 모든 병에서 인간들을 보호해 달라고 비는 손님풀이, 인간의 유한한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를 다룬 고금역대, 현실의 삶에 최선을 다하라는 황천문답, 유교식 장례과정을 알려주는 충문, 망자의 환생을 기원하는 환생탄일, 저승을 관장하는 10명의 왕들에 대한 시왕탄일, 남해안별신굿의 돌아가신 선생님들의 넋을 기리는 대신풀이, 굿을 하는 동안 맞이해주지 못한 영혼이나 신들을 위한 군웅굿, 모든 굿이 끝났음을 알리는 시석으로 별신굿 절차가 마무리 됩니다.
'지역별 굿 정보, 굿음악, 굿 악기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해안별신굿 중 잔삭거리 구성과 특징 (0) | 2024.02.13 |
---|---|
남해안 별신굿의 용어와 특징 (0) | 2024.02.12 |
서울굿 삼현육각 - 굿거리, 당악, 허튼타령, 반염불, 취타 내용과 특징 (0) | 2024.02.10 |
서울굿 무가 - 청배무가, 노랫가락, 타령, 만수받이 내용과 특징 (0) | 2024.02.10 |
서울굿 음악의 연행자, 무당과 악사 (0) | 2024.02.09 |